열세 살 여공의 삶
숲노래 책읽기책으로 삶읽기 550《열세 살 여공의 삶》신순애한겨레출판2014.4.18.시간외수당을 요구하는 캄보디아 노동자들의 시위에 군대가 개입해서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을 듣고 내 귀와 눈을 의심했다. 내가 1970년대에 경험한 상황과 너무 비슷했기 때문이다. (17쪽)박정희 정권의 수출 지향적 산업화 정책하에 농업 위주의 삶을 꾸려 나가던 공동체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젊은 여성들이 농촌을 떠나 서울 등 대도시로 이주하는 결과를 낳는다. (49쪽)내 아버지와 어머니가 어떻게 농촌 생활을 했는지, 형제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리고 왜 열세 살의 나이에 내가 공순이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먼저 짚어 보려 한다. (61쪽)삼양사 시다들은 하루 종일 마룻바닥에 무릎을 꿇고서 일했다. 미싱사에게 일감을 올려 줄 때에는 발목과 장딴지를 바닥에 댄 채로 무릎 위 허벅지를 펴면 얼굴이 미싱판 위에 닿았다. (84쪽)《열세 살 여공의 삶》(신순애, 한겨레출판, 2014)을 처음 손에 쥘 적에는 ‘열세 살 일순이’로서 어떤 눈물이며 웃음으로 그 길을 걸어왔나 하는 이야기를 만날 줄 알았다. 그러나 글쓴님은 이녁 발자취를 담은 책이 아닌 논문을 썼더라. 대학교 학위라든지 뭔가 이름을 거머쥐고 싶어서 논문을 써도 되겠지. 그런데 “열세 살 일순이”라면서? 일하는 열세 살 가시내가 이런 말씨를 쓸까? 아닐 텐데. 열세 살 일돌이도 매한가지이다. 왜 삶하고 아주 동떨어진 말라비틀어진 어떤 삶내음도 땀방울도 흐르지 않는 멋대가리없는 학자님들 지식인들 말씨를 갖다 붙이는 책을 꾸몄을까? 이렇게 써야 이 나라 뒷그늘을 밝히거나 ‘역사 인문학’이 되는가? 아니다. 스스로 걸어온 길을 제 목소리로 담아내야 비로소 참삶이요 참걸음이 되겠지. 일하는 사람들이여, 제발 논문이나 인문책 따위를 쓰지 말자. 그저 “우리 이야기”를, 우리들 삶말로 또박또박 쓰자. ㅅㄴㄹ
한 여성 노동자의 자기역사 쓰기 열세 살 여공의 삶 . 신순애의 청계상가 진입, 전태일의 죽음, 그리고 서서히 투사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노동환경 등 어린 여공의 체험을 통해 1970년대라는 시기를 우리에게 잘 보여준다.
추천사-김수행
추천사-최영희
저자 서문
1장 서론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연구 시기 및 책의 구성
2장 1960~1970년대 여성 노동자의 삶과 청계노조
1960~1970년대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과 여성 노동자의 삶
청계노조 탄생과 민주노조운동
3장 공순이의 탄생
어린 시절
아홉 살 꼬마의 편지 대필
오빠들의 기막힌 사연
상경과 판자촌 생활
열세 살의 평화시장 시다
배고픈 시절
시다, 미싱사 되다
공장의 시스템과 재단사 권력
평화시장 여성 노동자의 삶과 노동
소결(小結)
4장 여공에서 노동자로
내 이름을 찾은 곳 노동교실
최초의 승리, 퇴직금 쟁취 투쟁
여공에서 노동자로
8시간 노동 쟁취와 임금 인상을 위한 와이셔츠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
다림사 라인 작업
다림사에서의 노조활동
구속과 수감 생활
노조 문화 활동
잊지 못할 만남들
여공 선생의 독특한 한글교실
퇴직금 투쟁, 근로기준법 이상을 쟁취하다
합동수사본부에서의 경험, 한글 몰라요
소결(小結)
5장 무대 뒤편으로 사라져 간 여성 노조 활동가들
빨갱이라는 사회적 낙인
성고문에 대한 공포
블랙리스트, 굶어 죽을 자유뿐
공장 내의 성(性)
경제적 어려움에 허덕인 여성 노동자들
소결(小結)
나오며
참고 문헌
부록-평화시장 공장 용어